구분 | 용어사전 |
---|---|
첨부파일 |
* 비축 -
○ 자원의 유한성, 지역적 편재, 그리고 생산 및 판매 카르텔화 경향과 수요측면에서 인구의 증가, GNP 증가,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수요 확대 등으로 기본적으로 수급양면에서 불균형이 발생하 고 여기에 국제정치적 요인이 추가되면 자원 확보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. 이러한 이유로 국제원자재 시장은 파동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며, 실제로 가격의 등락이 심하게 나타난다.
이런 상황 하에서 소요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채택하고 있는 방법이 비축제도이다. 가격이 안정되었을 때 원자재를 비축해 두었다가 가격 상승 시 이를 방출함으로써 수급 및 가격안정을 도모하는 것이다.
○ 이를 위해 우리 정부는 원자재, 생활필수품 등을 직접구매, 비축하여 공급함으로써 장 · 단기 물자수급의 원활과 물가안정을 도모하고 국민경제의 안정적 발전과 정부의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.
○ 비축대상물자 - 해외의존도가 높은 물자, 국민생활안정에 긴요한 물자, 그 밖에 물가안정과 수급조절을 위하여 긴급히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물자 - 기준에 해당하는 물자로서 기획재정부장관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물자를 말한다(조달사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).